본문 바로가기
생활 실험실

[실전편]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 시뮬레이터 사용법 · 절세 전략 총정리

by gclara.ai 2025. 4. 29.
728x90
SMALL

1.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2025 기준)

국민연금 수령액은 기본적으로 다음 공식에 따라 계산됩니다.

💡 월 연금액 = A값 + B값

📌 A값 (기본연금액, 평균 소득대체분)

  • 전체 국민 평균 소득의 일정 비율을 적용
  • 2025년 기준 국민 전체의 평균 소득월액 약 2,800,000원

A값 = (전체 평균 소득 + 본인 평균소득) ÷ 2 × 소득대체율 × 가입기간계수


📌 B값 (자기부담분)

  • 본인이 납부한 금액 기준으로 계산

B값 = 본인 월소득 × 9% × 가입개월수 × 1.8 ÷ 100


🔢 [예시: 30년 납부, 월 소득 300만원인 경우]

  • A값: [(280만원 + 300만원)/2] × 0.5 × 30/40 ≒ 155만원
  • B값: 300만원 × 9% × 360개월 × 1.8 ÷ 100 = 약 17만원

➡️ 예상 월 연금: 약 172만원


2.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시뮬레이터 사용법

국민연금공단이 제공하는 공식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면
자신의 납입 이력과 소득 기준으로 예상 연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1.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ps.or.kr/
  2. 로그인 (공동인증서 or 간편인증 가능)
  3. ‘내 연금 알아보기’ → ‘노후준비서비스’ 클릭
  4. ‘예상연금 모의계산’ 메뉴로 이동
  5. 현재 소득, 납입기간, 예상소득 상승률 입력
  6. 결과 확인 → 월 수령액, 총 수령액, 수령 가능 시기 모두 표기

📌 비로그인 간편 계산기 (예상용)


3. 국민연금 절세 전략

국민연금 자체는 비과세이지만,
연금 수령액 외 소득이 많을 경우 합산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연금과 병행할 때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전략들이 있습니다.


✅ [전략 1] 국민연금 + 개인연금 ‘분산 수령’

항목 설명
국민연금 과세소득 아님 → 기본 비과세
연금저축(개인연금) 수령 시 분리과세(5.5%~3.3%)

➡️ 국민연금은 비과세, 개인연금은 저율 분리과세 → 이중 과세 방지


✅ [전략 2] 연금 수령 시기 분산

  • 국민연금은 60~65세 시작 가능
  • 개인연금은 55세부터 수령 가능

➡️ 수령 시기를 5년 이상 나누면 과세 구간 분산되어 절세 가능


✅ [전략 3] 고소득자는 연금저축 세액공제 활용

  • 연 400만원까지 16.5% 세액공제 가능
  • 소득세 부담 줄이고, 노후에는 분리과세로 수령

✅ [전략 4] 일시금 환급 세금 無

  • 국민연금 10년 미만 가입 후 반환일시금 수령 시
    세금 부과 없음 (전액 비과세)

✅ [전략 5] 유족연금/장애연금도 비과세

  • 사망/장애로 수령하는 국민연금은 전액 비과세
  • 타 연금과 합산되지 않으며 상속세 과세 대상 아님

[절세 전략 실전 예시]

  • A씨 (55세, 연금저축 1억원 보유)
    → 연금저축 55세부터, 국민연금은 65세 개시 → 분산 수령으로 세금 최소화
  • B씨 (연소득 8천만원)
    → 연금저축 400만원 납입으로 매년 66만원 소득세 절감
  • C씨 (국민연금 8년 가입 후 해외이주)
    → 반환일시금 수령 시 세금 0원 → 총 납입금 + 이자 전액 환급

최종 요약

✔️ 국민연금 수령액은 가입기간, 월소득, 전체 평균소득에 따라 복합적으로 계산됩니다.
✔️ 공단 시뮬레이터를 활용하면 나의 예상 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은 비과세이므로 개인연금과 함께 수령 시 절세 효과 극대화가 가능합니다.
✔️ 납입 기간을 10년 이상 채우는 것이 핵심이며, 부족 시 ‘임의가입’으로 연장 가능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