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트렌드 리포트

[대한민국 대통령선거 시리즈] 5편. 후보자별 득표 결과 총정리

by gclara.ai 2025. 4. 8.
728x90

“그때 누가 나왔었지?”, “이 선거 진짜 박빙이었지…”
역대 대통령선거는 단순한 ‘이긴 사람’만 중요한 게 아닙니다.
후보자 간 격차, 득표율 변화, 정당 구도 등은
대한민국 정치의 방향성과 민심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데이터죠.

 

이번 글에서는 직선제 이후 역대 대통령선거의 주요 후보자 득표 결과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제13대 대통령선거 (1987.12.16)

  • 🥇 노태우 (민정당) – 36.6% (8,282,738표)
  • 🥈 김영삼 (통일민주당) – 28.0%
  • 🥉 김대중 (평화민주당) – 27.0%
    📌 삼자 구도로 인해 1위 득표율이 낮은 선거
    📌 야권 분열이 승패 갈랐던 대표적 사례

📌 제14대 대통령선거 (1992.12.18)

  • 🥇 김영삼 (민주자유당) – 41.96% (9,977,332표)
  • 🥈 김대중 (민주당) – 33.82%
    📌 문민정부 출범, 군부정권 종식의 의미 있는 선거

📌 제15대 대통령선거 (1997.12.18)

  • 🥇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 40.27% (10,326,275표)
  • 🥈 이회창 (한나라당) – 38.74%
    📌 첫 정권교체! DJP연합(자민련과 공조)으로 승리

📌 제16대 대통령선거 (2002.12.19)

  • 🥇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 48.91% (12,014,277표)
  • 🥈 이회창 (한나라당) – 46.58%
    📌 정몽준과 후보 단일화 효과
    📌 2030 세대의 정치 참여 본격화

📌 제17대 대통령선거 (2007.12.19)

  • 🥇 이명박 (한나라당) – 48.67% (11,492,389표)
  • 🥈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 26.14%
    📌 경제 대통령 이미지, 압도적 격차 승리

📌 제18대 대통령선거 (2012.12.19)

  • 🥇 박근혜 (새누리당) – 51.55% (15,773,128표)
  • 🥈 문재인 (민주통합당) – 48.02%
    📌 첫 여성 대통령, 보수세력 재결집 효과

📌 제19대 대통령선거 (2017.05.09)

  •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 41.08% (13,423,800표)
  • 🥈 홍준표 (자유한국당) – 24.03%
  • 🥉 안철수 (국민의당) – 21.41%
    📌 박근혜 탄핵 이후 치러진 조기 대선
    📌 다자 구도 속 문재인의 압승

📌 제20대 대통령선거 (2022.03.09)

  • 🥇 윤석열 (국민의힘) – 48.56% (16,394,815표)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47.83% (16,147,738표)
    📌 역대 가장 박빙! 단 0.73%p 차이
    📌 양강 구도 + 세대·지역 간 극심한 분열

📊 총정리: 가장 기억에 남는 득표 기록들

항목 내용
🏆 최고 득표 수 윤석열 (2022) – 16,394,815표
📉 최저 득표율 당선자 노태우 (1987) – 36.6%
🔥 최대 박빙 승부 윤석열 vs 이재명 (0.73%p 차이)
최대 격차 승리 이명박 vs 정동영 (22.53%p 차이)

💬 마무리하며

후보자별 득표 결과를 보면, 단순한 승패를 넘어
민심의 흐름, 정당의 세대 교체, 정치 지형 변화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선거에서는
과연 어떤 인물과 가치가 국민의 선택을 받을지,
이제 그 역사는 여러분의 한 표로 또다시 써 내려가질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