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정리는 ‘꺼내기 쉬운’ 구조를 만드는 것
정리를 잘 해놨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찾으려면 다시 뒤져야 한다면 그건 완성된 정리가 아닙니다.
정리의 끝은 ‘보관’이 아니라 ‘찾기’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정리 체계를 세우는 법을 다룹니다.
지금부터 설명하는 방법을 따르면, 무엇이 어디 있는지 명확해지고, 가족 누구나 함께 유지할 수 있는 정리 시스템이 만들어집니다.
정리 시스템의 핵심은 ‘카테고리화’
정리할 때 중요한 건 위치보다 분류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서랍에 있어도 ‘보험서류’와 ‘학교알림장’은 다른 카테고리로 봐야 합니다.
분류 기준 예시:
1. 사람 중심 카테고리
- 엄마 / 아빠 / 아이1 / 아이2
2. 용도 중심 카테고리
- 금융 / 보험 / 건강 / 교육 / 추억 / 증빙자료 / 보관필수
3. 시간 중심 카테고리
- 연도별 (2023 / 2024)
- 학기별 (1학기 / 2학기)
- 계절별 (봄/여름/가을/겨울 옷)
이렇게 나누면, 실물 문서든 디지털 파일이든 정리 기준이 일관되게 됩니다.
실물 자료 정리법 – 공간을 기준으로 나누기
실제 공간에서 정리할 때는 박스·서랍·파일함을 카테고리화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각을 눈에 보이게 라벨링하거나, 요즘은 QR코드 라벨도 활용합니다.
정리 팁:
- 투명 서랍 or 라벨 부착: 카테고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 서류는 폴더별 색상 분류: 건강/금융/교육 등 항목별 색깔 지정
- QR코드 앱: 스마트폰으로 스캔 시 내용 확인 가능 (예: Tidy, QRlabel 앱 등)
예: ‘서랍3 – 보험서류 / QR코드로 파일 링크 연결’
실물과 디지털이 연동되는 구조를 만들면 더 효율적입니다.
디지털 자료 정리법 – 파일/폴더를 일관되게
디지털 파일은 검색보다 분류가 중요합니다.
검색은 정확한 단어를 기억해야 하지만, 분류는 직관적으로 꺼내 볼 수 있습니다.
폴더 구조 예시:
/가족자료
/엄마
/건강
/보험
/아빠
/연말정산
/아이1
/2024_1학기
/2024_추억사진
- 파일명은 날짜+제목: “2024_04_보험증서.pdf”
- 사진은 이벤트 단위로 폴더화: “2023_운동회”, “2024_졸업식”
- 중요한 파일은 ‘중요’ 또는 ‘필수보관’ 폴더에 이중 보관
클라우드(구글 드라이브, 아이클라우드 등)는 가족 공유 폴더를 만들면 함께 쓰기 좋습니다.
정리 시스템을 가족과 공유하는 방법
정리 시스템은 나만 알면 안 됩니다.
가족 전체가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 알고 있어야 유지가 됩니다.
실천 방법:
- 정리 후 구조를 간단히 문서화 (A4 한 장이면 충분)
- 가족에게 폴더명/박스 위치/라벨 의미를 설명
- 아이에게는 그림+색상으로 정리 구조 알려주기
정리는 가족 모두가 사용하는 시스템이어야 오래 유지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조금 시간과 손이 가더라도, 한 번 구조를 제대로 세워두면 그 뒤로는 관리가 편해집니다.
✅ 결론 요약
- 정리는 ‘보관’보다 ‘찾기’를 중심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 사람, 용도, 시간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나누세요.
- 실물은 라벨링과 QR코드, 디지털은 폴더 일관성이 핵심입니다.
- 정리 시스템은 가족과 공유하고, 함께 유지해야 오래 갑니다.
728x90
반응형
'생활 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화] 은행 문턱 넘지 못한 사람들, 어디서 돈 빌려야 할까? (0) | 2025.04.24 |
---|---|
[한 번에 끝내는 우리집 정리 시스템] Part 5. 유지관리 시스템 – 정리해도 다시 어질러질 때 (0) | 2025.04.24 |
[한 번에 끝내는 우리집 정리 시스템] Part 2. 디지털로 정리하기 – 사진, 영상, 문서 스캔 (0) | 2025.04.24 |
여름철 대비 5편 - 이것만 챙기면 끝! 여름 대비 종합 꿀팁 모음 (1) | 2025.04.24 |
여름철 대비 4편 - 자가 셀프 청소 vs 전문업체 맡기기 – 비용과 효율 비교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