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실험실

EP.2 나는 신고 대상자일까? — 종소세 의무대상 1분컷 체크리스트

by gclara.ai 2025. 4. 28.
728x90

종합소득세, 나도 신고해야 할까?

5월 종합소득세 시즌이 다가오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나는 신고 대상자일까?"
"신고 안 해도 되는 사람은 누구지?"

 

종합소득세는 생각보다 대상자가 넓고 다양합니다.
단순히 사업자나 부자만 신고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소액의 부수입만 있어도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1분 안에 본인이 신고해야 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체크리스트

다음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1. 2024년 1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사업소득이 발생한 경우
    (예: 프리랜서, 스마트스토어, 블로그 수익, 유튜브 수익)
  2. 근로소득 외 추가 소득이 있는 경우
    (예: 부업, 강의료, 원고료, 인세, 강연료)
  3.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 초과한 경우
    (예: 예금 이자, 펀드 수익 등)
  4.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월세 수입, 상가 임대료 등)
  5. 기타 소득이 발생한 경우
    (예: 복권 당첨금, 일시적인 수입)
  6. 해외 소득이 있는 경우
    (예: 해외 주식 양도소득, 해외 부동산 소득)
  7. 농업, 어업, 축산업 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

주의해야 할 헷갈리는 케이스

  • 스마트스토어 매출만 있고 경비 빼고 소득이 거의 없을 경우?
    : 그래도 신고는 해야 합니다.
  • 유튜브 광고 수익이 소액인 경우?
    : 연간 수익이 1원이라도 발생하면 신고 대상입니다.
  • 회사 다니면서 퇴사 후 받은 실업급여는?
    :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라 신고할 필요 없습니다.
  • 아르바이트로 3~4개월 일한 경우?
    : 근로소득자는 연말정산으로 끝나지만, 중복 소득(사업소득 등)이 있으면 추가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다음 사람들은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 한 직장에서만 근로하고, 회사가 연말정산을 모두 완료해 준 경우
  • 연 300만 원 이하의 기타소득만 있는 경우 (기타소득 80% 필요경비 적용 조건)
  • 주택 임대소득 2천만 원 이하(주택 수 1~2채 소유)로 비과세 대상인 경우

하지만, 추가 공제나 환급을 받고 싶다면 별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예시)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공제를 받고 환급받고 싶다면 자발적 신고 가능


셀프 진단 요약

  • 사업/프리랜서 소득 있음 ➔ 신고 필수
  • 부업/부수입 있음 ➔ 신고 필수
  •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 신고 필수
  • 근로소득만 있고 회사가 연말정산 완료 ➔ 추가 신고 불필요
  • 소액 소득만 있어도 원칙상 신고해야 함

오늘의 정리

  • 종합소득세 신고는 소득이 있으면 액수에 관계없이 해야 한다
  • "나는 소액이라 괜찮겠지" 생각하다가 가산세 맞을 수 있다
  • 의무 신고 대상이 아니어도 환급 받을 수 있으면 '자발적 신고'를 고려해보자

다음 글 예고

EP.3 모르면 손해! 종합소득세 '경비처리' 똑똑하게 하는 법

사업자, 프리랜서, 부업러라면 절대 놓쳐선 안 될 꿀팁을 소개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