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종합소득세, 나도 신고해야 할까?
5월 종합소득세 시즌이 다가오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나는 신고 대상자일까?"
"신고 안 해도 되는 사람은 누구지?"
종합소득세는 생각보다 대상자가 넓고 다양합니다.
단순히 사업자나 부자만 신고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소액의 부수입만 있어도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1분 안에 본인이 신고해야 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체크리스트
다음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 2024년 1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사업소득이 발생한 경우
(예: 프리랜서, 스마트스토어, 블로그 수익, 유튜브 수익) - 근로소득 외 추가 소득이 있는 경우
(예: 부업, 강의료, 원고료, 인세, 강연료) -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 초과한 경우
(예: 예금 이자, 펀드 수익 등) -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월세 수입, 상가 임대료 등) - 기타 소득이 발생한 경우
(예: 복권 당첨금, 일시적인 수입) - 해외 소득이 있는 경우
(예: 해외 주식 양도소득, 해외 부동산 소득) - 농업, 어업, 축산업 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
주의해야 할 헷갈리는 케이스
- 스마트스토어 매출만 있고 경비 빼고 소득이 거의 없을 경우?
: 그래도 신고는 해야 합니다. - 유튜브 광고 수익이 소액인 경우?
: 연간 수익이 1원이라도 발생하면 신고 대상입니다. - 회사 다니면서 퇴사 후 받은 실업급여는?
: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라 신고할 필요 없습니다. - 아르바이트로 3~4개월 일한 경우?
: 근로소득자는 연말정산으로 끝나지만, 중복 소득(사업소득 등)이 있으면 추가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다음 사람들은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 한 직장에서만 근로하고, 회사가 연말정산을 모두 완료해 준 경우
- 연 300만 원 이하의 기타소득만 있는 경우 (기타소득 80% 필요경비 적용 조건)
- 주택 임대소득 2천만 원 이하(주택 수 1~2채 소유)로 비과세 대상인 경우
하지만, 추가 공제나 환급을 받고 싶다면 별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예시)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공제를 받고 환급받고 싶다면 자발적 신고 가능
셀프 진단 요약
- 사업/프리랜서 소득 있음 ➔ 신고 필수
- 부업/부수입 있음 ➔ 신고 필수
-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 신고 필수
- 근로소득만 있고 회사가 연말정산 완료 ➔ 추가 신고 불필요
- 소액 소득만 있어도 원칙상 신고해야 함
오늘의 정리
- 종합소득세 신고는 소득이 있으면 액수에 관계없이 해야 한다
- "나는 소액이라 괜찮겠지" 생각하다가 가산세 맞을 수 있다
- 의무 신고 대상이 아니어도 환급 받을 수 있으면 '자발적 신고'를 고려해보자
다음 글 예고
EP.3 모르면 손해! 종합소득세 '경비처리' 똑똑하게 하는 법
사업자, 프리랜서, 부업러라면 절대 놓쳐선 안 될 꿀팁을 소개합니다.
728x90
'생활 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4 이것만 챙기면 환급금? — 놓치기 쉬운 세액공제 총정리 (1) | 2025.04.28 |
---|---|
EP.3 모르면 손해! 종합소득세 '경비처리' 똑똑하게 하는 법 (1) | 2025.04.28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놓치면 '최대 20% 가산세 폭탄' 맞습니다 (0) | 2025.04.28 |
EP.7 알아두면 쓸모있는 꿀 상식 모음 (0) | 2025.04.27 |
EP.6 천연벌꿀, 이것만은 주의하세요 – 부작용과 보관법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