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실험실

시민들의 목소리 – 통행료에 대한 여론과 실생활 이야기

by gclara.ai 2025. 4. 30.
728x90

서론: “그 길은 너무 비쌌다”

인천대교 통행료 인하 소식은 전국적으로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누구는 “이제서야 상식이 통했다”고 반기고, 또 누구는 “왜 우리 지역은 그대로냐”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시민들이 전한 이야기와, 통행료 정책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소개합니다.


사례 1. 영종도 주민 A씨의 이야기

“병원 가려면 송도까지 가야 하는데, 왕복에 11,000원씩 내요.
도로 하나 지났다고 ‘섬 주민’처럼 요금 내는 게 말이 되나요?”

 

인천 영종도에 거주하는 A씨는 한 달에 20번 이상 인천대교를 이용합니다.
직장도 송도, 병원도 송도. 하지만 민자도로인 인천대교와 영종대교의 통행료가 매일 부담이었습니다.

A씨는 말합니다.

“매달 통행료만 20~25만 원 들어가요.
대중교통도 불편해서 어쩔 수 없이 차를 타는 사람들인데, 너무 불공정했죠.”


사례 2. 수도권 출퇴근 직장인 B씨의 불만

“서울에서 춘천까지 고속도로 타면 5,300원입니다.
같은 거리의 공영도로는 절반도 안 해요. 이건 민자도로가 아니라, 사설도로 수준 아닌가요?”

 

서울-춘천고속도로를 매일 출퇴근용으로 이용하는 B씨는,
고속도로 통행료가 한 달 기준 20만 원 이상 발생한다고 전했습니다.

“내가 고속도로를 매입하는 것도 아니고, 단순 통행인데 왜 이렇게 비싼지 모르겠어요.”

이러한 불만은 해당 노선을 이용하는 출퇴근 직장인과 학생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례 3. 자영업자 C씨의 민원

“배달·택배 차들 요금이 부담돼 아예 경로를 우회해요.
시간도 더 걸리고, 기름값도 더 들죠. 결국 가격은 소비자에게 전가됩니다.”

 

자영업자 C씨는 수도권 외곽에서 택배 물류를 운영하는 사업자입니다.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20분이면 갈 거리도, 통행료를 아끼기 위해 국도를 돌아가면 40~50분 이상 걸립니다.

그는 말합니다.

“유료도로가 '빠른 길'이 아니라 '비싼 길'이라는 이미지가 커졌어요.
민자도로는 기업 편의만 생각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시민 여론은 무엇을 말하는가?

여론조사 결과(2024년 기준, 리얼미터/교통정책센터 자료):

문항 응답률
통행료 체계가 ‘불공정’하다고 느낀다 72.4%
민자도로 통행료 인하 필요성에 공감 85.1%
통행료 인하에 ‘세금 보전’이 불가피하더라도 수용 가능 59.3%
전국 기준 통행료 상한제 도입 찬성 81.7%

주요 키워드 분석 (SNS·포털 댓글)

  • “영종도만 반값? 서울춘천도 좀 내려줘라”
  • “통행료가 교통세인지, 벌금인지 모르겠다”
  • “도로는 국가가 깔았으면 책임도 져야 한다”
  • “한 번 들어서면 빠져나오기 어려운 민자 계약, 언제까지 국민이 부담하나”

문제는 구조, 목소리는 공감

이처럼 시민들은 단순히 ‘돈을 아끼고 싶다’는 차원을 넘어
교통 접근성의 공공성, 형평성 회복, 제도 개편에 대한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왜 우리만 부담해야 하느냐”가 아니라,
“기본 인프라에 있어 모든 국민이 공평한 기회를 가져야 하지 않느냐”는 근본적인 물음입니다.


통행료 정책, 이제 국민과 함께 논의해야 할 때

정부는 통행료 정책을 세울 때 이제 더 이상 '수익자 부담 원칙'만을 앞세울 수 없습니다.
시민들의 불만은 단순한 경제적 손해를 넘어서, 제도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교통권도 기본권의 하나입니다
  • 공공 인프라에 대한 비용은 사회 전체의 합리적 부담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 이제는 시민 의견이 정책을 이끄는 중심이 되어야 할 때입니다

오늘의 요약

  • 영종도, 서울-춘천, 일산대교 등에서 시민 불만이 가장 많음
  • 주요 이슈는 요금의 불공정성과 지역 간 형평성 문제
  • 여론은 통행료 인하에 대한 공감이 높으며, 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가 확대 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