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건 소액인데 신고 안 해도 되겠지?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마다 많은 사람들이 질문합니다.
"이건 소액이라서 신고 안 해도 되죠?"
"부업인데 신고까지 해야 하나요?"
하지만 국세청은 이미 다양한 데이터(카드매출, 플랫폼 수수료, 송금 기록 등)로
소득 발생 여부를 상당 부분 파악하고 있습니다.
모르고 누락하면 가산세,
알고도 누락하면 탈세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소득 7가지를 정리했습니다.
내 소득이 포함되는지 반드시 체크해보세요.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소득 7가지
1. 스마트스토어 매출
- 상품을 팔아서 번 돈은 모두 '사업소득'입니다.
- 매출이 작더라도, 사업자등록 없이 소득이 발생하면 신고 대상입니다.
- 매출에서 경비를 빼고 '순소득' 기준으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스마트스토어, 쿠팡파트너스 수익 모두 포함됩니다.
2. 유튜브 광고 수익
-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 국내외 어디서 받든, 한국 거주자는 전 세계 소득을 신고해야 합니다.
- 구글이 발급하는 지급명세서(구글 세금문서)도 참고하면 좋습니다.
3. 블로그 협찬 수익
- 블로그를 통해 협찬 상품을 받거나, 광고비를 받은 경우 소득에 포함됩니다.
- 상품 수령만 하고 리뷰를 작성한 것도 과세 대상일 수 있습니다.
- 상품가액이 소액이라도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4. 해외 직구 리셀 이익
- 해외 구매대행, 직구 리셀(재판매)을 통해 이익을 본 경우 사업소득으로 보고 신고해야 합니다.
- 단순 소비자 직구는 상관없지만, 판매 목적으로 재판매했다면 반드시 신고 대상입니다.
5. 알바·부업 수입
- 정규직 외에 단기 알바, 부업(예: 배달, 과외, 강의) 수입도 신고해야 합니다.
- 현금으로 받았다 하더라도, 소득이 발생한 이상 과세 대상입니다.
-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신고됩니다.
6. 투자 소득 (주식·가상자산 등)
- 국내 주식 양도차익은 현재 비과세지만,
- 해외주식, 해외펀드, 해외가상자산은 소득 발생 시 신고해야 합니다.
- 특히 가상자산은 앞으로 더욱 철저한 관리가 예고되어 있습니다.
7. 프리랜서 활동 수입
- 번역, 통역, 디자인, 영상편집, 강의 등 프리랜서 수입은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 건당 수익이 적더라도, 연간 합산 금액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월 5만 원 정도 번 것도 신고해야 하나요?"
➔ 네. 연간 소득이 얼마이든, 과세대상 소득이면 원칙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없이 판매만 했는데요?"
➔ 사업자등록 여부와 무관하게, '소득 발생' 자체가 신고 기준입니다.
"한두 번 리셀했는데도 신고해야 하나요?"
➔ 반복성이나 일정 금액 이상이면 신고 대상입니다. 소액이라도 합산하면 크게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정리
- 스마트스토어, 유튜브, 블로그 수익은 모두 신고 대상이다
- 알바, 부업, 해외직구 리셀 소득도 꼼꼼히 관리해야 한다
- 작은 소득도 합산하면 세금 대상이 될 수 있다
- '몰랐다'는 이유로 면제되지 않으니, 미리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글 예고
EP.10 초보도 할 수 있다! 종합소득세 '셀프 신고' 완전 가이드
이제 마지막 단계! 홈택스를 활용한 셀프 신고 방법을 하나하나 차근차근 안내해드립니다.
728x90
'생활 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령대별 어린이날 선물 추천 가이드 (2) | 2025.04.29 |
---|---|
EP.10 초보도 할 수 있다! 종합소득세 '셀프 신고' 완전 가이드 (1) | 2025.04.28 |
EP.8 벌금? 압류? — 종합소득세 미납 시 진짜 벌어지는 일들 (0) | 2025.04.28 |
EP.6 5분 컷 정리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달라진 점 5가지 (0) | 2025.04.28 |
EP.5 간편신고 vs 전문가 대행 — 나에게 맞는 방법은? (0) | 2025.04.28 |